홍길동전의 分析적 접근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0 18:03
본문
Download : 홍길동전의 분석적 접근.hwp
이는 1960년대 초반까지 정설로 이어지다가, 60년대 중반에 이르러 반론이 제기 되기 처음 하였다.
,감상서평,레포트
홍길동전논문






순서
레포트/감상서평
홍길동전의 작품의 성격을 사회, 문화적인 다양한 배경을 토대로 설명한 글홍길동전논문 , 홍길동전의 분석적 접근감상서평레포트 ,
홍길동전의 分析적 접근
1. 머리말
2.「홍길동전」작자에 대한 논의
3. 작품형성의 배경
1) 사회적인 배경 - 국내적 사건의 배경설
2) 문학적인 배경 - 중국(中國)문학에 대한 배경설
4. 허균의 사상과 「홍길동전」의 주제와의 호응성
1) 고소설 주제론에 따른 주제사상
2) 인간 평등 사상 - 유재론
3) 민본주의 사상 - 호민론
4) 富의 균등한 분배 - 관론·후록론
5. 마무리
「홍길동전」의 작자에 대해 최초로 언급한 이는 김태준이다. ‘許均作洪吉童傳, 以擬水灝’ (澤堂雜著) 라는 文句로써 「洪吉童傳」의 저자가 허균임을 알았다. 그러나 이 논란은 오늘날 전하는 「홍길동전」이…(투비컨티뉴드 )
홍길동전의 작품의 성격을 사회, 문화적인 다양한 배경을 토대로 설명(explanation)한 글
설명
Download : 홍길동전의 분석적 접근.hwp( 52 )
다. 김태준은 「조선소설사」에서 “傳하는 말에 허균이가 水滸傳을 百讀하고서 「洪吉童傳」을 지었다고 한다. 또한 허균이 처형당할 때 딸의 집으로 빼돌린 작품 가운데 「홍길동전」은 들어있지 않았고, 죄목 가운데도 이 작품의 저술에 대한 언급이 없었다는 점과 적서差別의 폐지를 주장한 「홍길동전」과는 달리 허균이 너무나도 문란한 처첩관계를 가지고 있었다는 점, 마지막으로 「홍길동전」에서 해인사의 재물을 탈취하는 부분은 허균이 불교를 신봉했다는 사실과 비교해 볼 때 그의 소작일 가능성을 낮추고 있다는 점 등을 들어 「홍길동전」이 허균의 작품이라는 기존의 견해에 대해 반박하였다. 김태준, 「증보 조선소설사」, 학예사(1939), 79~80p
”라고 하여, 허균을 소설 「홍길동전」의 작자로 단정하였다. 김태준 이래 대부분의 학자들은 이 기록을 지지하며, 그 신빙성의 여부에 대하여 의심을 품지 않았다. 이복규, 「우리 고소설 연구」, 역락(2004)
「홍길동전」의 작가를 둘러싼 많은 논의가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70년대에 들어서는 이 작품의 원본에 입각하여 국문원작설과 한문원작설로 작가의 대한 논란이 새로운 양상의 난국으로 이어졌다.
허균이 「홍길동전」의 작가라는 기존 정설에 대한 반론들을 살펴보면 먼저, 이능우는 옛 문헌들을 조사하여 그 기록들에서 허균을 ‘엄청난 소인’이라고 칭하고 있는 점을 발견하고 「홍길동전」같은 위대한 작품을 소인이라 불리 우는 허균이 지었을 리 없다는 주장을 펼쳐 기존의 작가론에 대해 반론을 제기했으며, 김진세는 이식의「택당집」은 이식의 사후 27년만에 간행되었으므로 신빙성이 의심스럽다고 하여 허균을 「홍길동전」의 작가로 인정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