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포트] 인도 아랴어 음운체계의 변천 / 인도 아랴어 음운체계의 변천 이 재 숙 1)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7 11:55
본문
Download : 인도-아랴어 음운체계의 변천.hwp
발음의 편의(Economy of Effort), 음의 축약 경향, 민간 어원설(Popular Etymology), 유추(Analogy), 다른 언어로 옮겨 적었다가 다시 돌아왔을 때 생기는 음가의 혼동, 강세의 변화, 차용어의 유입 등 음운론적 변화의 요인은 실로 다양하다.인도-아랴어 음운체계의 변천 이 재 숙 1) 차 례 Ⅰ. 베다어의 음운 ...
순서
Download : 인도-아랴어 음운체계의 변천.hwp( 19 )





인도-아랴어 음운체계의 변천 이 재 숙 1) 차 례 Ⅰ. 베다어의 음운 ...
인도-아랴어 음운체계의 변천 이 재 숙) 차 례 Ⅰ. 베다어의 음운 Ⅱ. 산스끄리뜨어 음운 Ⅲ. 중세어의 음운 Ⅳ. 중세어에 나타난 음운의 변화 Ⅴ. 근대어의 음운 Ⅵ. 結論 음운론적 변화가 발생하는 요인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현대 인도어는 ‘인위적 언어’라고 할 수 있는 산스끄리뜨어 전통과 그 외의 ‘자연적 언어’인 쁘라끄리뜨어 전통2) 양쪽에서 계승되기 때문에 베다의 언어에서부터 근대 언어에 이르기까지 일어난 음운론적 변화를 살피는 것은 인도의 언어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무엇보다 중요한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아 쁘라끄리뜨어 전통은 산스끄리뜨어와 공존하기도 하였지만 베다의 언어로 채택되지 않은 나머지 일반 대중의 언어들을 통칭하는 것이기 때문에 음운론적 변화를 살펴보는 것은 더더욱 의미가 있다아 이 글에서는 고대 인도-아랴어에서 근대 인도-아랴어까지 즉, 베다어에서 산스끄리뜨어, 빨리어, 쁘라끄리뜨어, 아쁘브란시어 시대를 거쳐 힌디어로 이어지는 인도어의 음운론적 변화를 통시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특히 식샤는 베다 만뜨라를 바르게 발음할 수 있...
설명
[레포트] 인도 아랴어 음운체계의 변천 / 인도 아랴어 음운체계의 변천 이 재 숙 1)
레포트 인도 아랴어 음운체계의 변천 / 인도 아랴어 음운체계의 변천 이 재 숙 1
레포트 > 기타
다. 베다의 낭송용 텍스트(padap ha)에서는 베다 본문의 정확한 낭송을 위하여 음의 높낮이를 높낮이액센트로 표시하였으며, 베다의 부록으로 간주된 여섯 가지 학문( a a ga)3) 가운데 세 가지가 오늘날의 언어학 영역과 관련이 있다아 그것은 각각 식샤( ik ; 調音法), 뱌까라나(Vy kara a; 문법), 니룩따(Nirukta; 어원학)이다. Ⅰ. 베다어의 음운 고대 인도에서는 현대적 의미의 음성 혹은 음운론에 해당하는 언어분야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