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콘텐츠산업 육성에 473억 투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31 03:27
본문
Download : 20060110.jpg
진흥원은 먼저 문화콘텐츠의 수출활성화를 위해 남미 최대시장인 브라질과 인구 대국 인도를 중심으로 신시장 개척을 위한 현지조사를 본격화한다.
레포트 > 기타
문화콘텐츠산업 육성에 473억 투자
문화콘텐츠진흥원은 9일 △수출활성화를 위한 기업의 글로벌화 지원 △the gist인력 양성 △the gist 문화콘텐츠 기술 개발을 골자로 하는 ‘2006년 사업계획’을 확정 발표했다.
문화콘텐츠 기술 개발은 올 여름 발표된 문화기술(CT) 로드맵에 의거해 지속적인 기술 개발을 지원할 예정이다.
이 밖에 문화콘텐츠 유통environment(환경) 을 체계적으로 improvement(개선)하기 위해 문화콘텐츠 유통정보 네트워크시스템을 구축하고 공공 문화콘텐츠 저작권 위탁관리 사업과 문화콘텐츠 식별체계 사업(COI)도 지속적으로 확대 추진할 예정이다.
순서





다. 특히 기존 전문·심화과정을 통폐합해 문화콘텐츠 크리에이터 아카데미를 신설하고 국내외를 아우르는 1년의 장기과정으로 운영할 예정이다. 특히 게임과 애니메이션 등 문화콘텐츠 제작에 필요한 인하우스 소프트웨어 개발에 초점을 맞추기로 했다.
Download : 20060110.jpg( 98 )
설명
인력양성 부문에서는 현장인력 재교육 중심에서 벗어나 기획·창작 등 the gist인력 양성에 중점을 둔다.
정진영기자@전자신문, jychung@
문화콘텐츠산업 육성에 473억 투자
문화콘텐츠산업 육성에 473억 투자
애니메이션 창작역량을 높이기 위한 애니메이션 제작 스튜디오가 본격 운영되고 디지털음악시장 활성화를 위해 한국음악뮤직데이터뱅크(KMDB) 구축사업이 추진되는 등 개별 분야에 대한 집중 육성 전략(戰略) 도 진행된다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과 데이터방송 등 신규 디지털 매체에 탑재될 우수 문화콘텐츠 제작 지원에도 나선다.
문화콘텐츠산업 육성에 473억 투자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원장 서병문)이 올해 문화콘텐츠 산업 육성에 총 473억3100만원을 투입한다. 또 문화콘텐츠 해외 진출 지원 중기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수출정보시스템을 고급화 및 체계화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