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GO] NGO의 정의 , 특징 및 주요 역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2 09:27
본문
Download : [NGO] NGO의 개념, 특징 및.hwp
셋째, 지역개발, 쓰레기소각장 건립 등의 지역문제로 인하여 지역에서 자생적으로 생겨 독자적으로 활동하고 있는 NGO, 넷째, 지역 내에 있는 NGO 중 국민운동 지원 단체나 이익단체가 아닌 순수 시민운동단체를 말한다. 따라서 NGO란 지역을 기반으로 한 시민활동단체를 의미하는데, 여기서의 시민활동단체는 사회에 대해서 권리와 의무를 자각한 시민의 자발적인 발의에 의해서 조직되고 많은 시민으로부터 지지를 받는 단체라고 할 수 있다. 셋째, 지역개발, 쓰레기소각장 건립 등의 지역문제로 인하여 지역에서 자생적으로 생겨 독자적으로 활동하고 있는 NGO, 넷째, 지역 내에 있는 NGO 중 국민운동 지원 단체나 이익단체가 아닌 순수 시민(Citizen)운동단체를 말한다. 이러한 두 가지 축의 기준 하에 이들 용어가 가지는 특성을 비영리적이며 비정부라는데 의미를 부여한다면 이들 모두 유사용어로서 광의의 NGO에 포함될 수 있다.
1) NGO의 기능
2) NGO주도형(Third-Sector Dominant Model)
NGO, 참여민주주의, 파트너십 , 정부주도형, NGO주도형
Download : [NGO] NGO의 개념, 특징 및.hwp( 24 )
5. NGO의 특성
1) 政府주도형(Government Dominant Model)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2. 우리나라 NGO의 등장 배경
여기에서 다루고 있는 지역 NGO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시민(Citizen)활동단체로서 비영리민간단체를 말하는데, 첫째, 전국단위가 아닌 기초자치단체중심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둘째, 전국단위의 NGO라고 해도 해당 자치단체에서 어느 정도 독자성을 가지고 활동하는 NGO는 이에 포함시킨다. 이러한 두 가지 축의 기준 하에 이들 용어가 가지는 特性(특성)을 비영리적이며 비政府(정부)라는데 의미를 부여한다면 이들 모두 유사용어로서 광의의 NGO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들 용어 간에 差別성을 알 수 있는 명확히 일치된 국제적인 분류기준 및 정의가 존재하는 것이 아니며 UN에서 통상적으로 NGO라는 용어를 사용하기 때문이다(임승빈, 1999).
참고자료
7. NGO와 政府 간 역할모델
3) 참여민주주의와 신사회운동
4. NGO의 기능과 조건
NGO라는 용어는 국제연합(UN)이 政府(정부) 이외의 민간단체와의 협력관계를 규정한 국제연합헌장 제71조 중에서 사용한 용어이다. 국제연합의 경제사회이사회와의 협의자격을 가진 「국제연합NGO」중에는 영리단체나 정당을 제외한 다양한 단체가 포함되어 있다.
설명
6. 政府와 NGO의 파트너십에 관한 이론(理論)적 배경
1. NGO란?
3. NGO의 분류
3) 이원/중첩형(Dual Model)
1. NGO란? NGO라는 용어는 국제연합(UN)이 정부 이외의 민간단체와의 협력관계를 규정한 국제연합헌장 제71조 중에서 사용한 용어이다. NGO와 유사한 개념으로는 NPO(Non-Profit Organization), 제3섹터(The Third Sector), CSO(Civil Society Organization), CDC(Community Based Development Corporation), VO(Voluntary Organization) 등 다양하게 존재하나 국가(State)와 시장(Market) 그리고 비영리민간단체간의 구별에서 가장 근본적인 기준이 되는 점은 공익성과 사익성이라는 관점과 정부와 비정부라는 관점이다. 그런데 최근에 와서는 국제연합의 경제사회이사회와의 협의자격 유무와는 상관없이 개발문제, 인권문제, 환경문제, 평화문제 등 지구규모의 제 문제의 해결에 비정부․비영리적인 입장에서 조직된 시민이 주도하는 국제조직 내지는 국내조직을 NGO라고 정의하고 있으며, 매스컴 등에서는 공익적인 활동을 하는 정부조직이 아닌 시민조직을 일반적으로 NGO라고 부르고 있다. 또한 이들 용어 간에 차별성을 알 수 있는 명확히 일치된 국제적인 분류기준 및 정의가 존재하는 것이 아니며 UN에서 통상적으로 NGO라는 용어를 사용하기 때문이다(임승빈, 1999). 여기에서 다루고 있는 지역 NGO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시민활동단체로서 비영리민간단체를 말하는데, 첫째, 전국단위가 아닌 기초자치단체중심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둘째, 전국단위의 NGO라고 해도 해당 자치단체에서 어느 정도 독자성을 가지고 활동하는 NGO는 이에 포함시킨다.
1. NGO란?
순서
[NGO] NGO의 정의 , 특징 및 주요 역할
2) 시장실패와 政府실패
4) 파트너십이 갖는 장․단점
4) 상호협동형(Collaborative Model)
1) 파트너십의 개념
NGO와 유사한 정의 으로는 NPO(Non-Profit Organization), 제3섹터(The Third Sector), CSO(Civil Society Organization), CDC(Community Based Development Corporation), VO(Voluntary Organization) 등 다양하게 존재하나 국가(State)와 시장(Market) 그리고 비영리민간단체간의 구별에서 가장 근본적인 기준이 되는 점은 공익성과 사익성이라는 관점과 政府(정부)와 비政府(정부)라는 관점이다. 국제연합의 경제사회이사회와의 협의자격을 가진 「국제연합NGO」중에는 영리단체나 정당을 제외한 다양한 단체가 포함되어 있다 그런데 최근에 와서는 국제연합의 경제사회이사회와의 협의자격 유무와는 상관없이 개발문제, 인권문제, environment(환경) 문제, 평화문제 등 지구규모의 제 문제의 해결에 비政府(정부)․비영리적인 입장에서 조직된 시민(Citizen)이 주도하는 국제조직 내지는 국내조직을 NGO라고 정의하고 있으며, 매스컴 등에서는 공익적인 활동을 하는 政府(정부)조직이 아닌 시민(Citizen)조직을 일반적으로 NGO라고 부르고 있다 따라서 NGO란 지역을 기반으로 한 시민(Citizen)활동단체를 의미하는데, 여기서의 시민(Citizen)활동단체는 사회에 상대하여 권리와 의무를 자각한 시민(Citizen)의 자발적인 발의에 의해서 조직되고 많은 시민(Citizen)으로부터 지지를 받는 단체라고 할 수 있다
2) NGO의 조건
![[NGO] NGO의 개념, 특징 및-8037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110/%5BNGO%5D%20NGO%EC%9D%98%20%EA%B0%9C%EB%85%90,%20%ED%8A%B9%EC%A7%95%20%EB%B0%8F-8037_01.gif)
![[NGO] NGO의 개념, 특징 및-8037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110/%5BNGO%5D%20NGO%EC%9D%98%20%EA%B0%9C%EB%85%90,%20%ED%8A%B9%EC%A7%95%20%EB%B0%8F-8037_02_.gif)
![[NGO] NGO의 개념, 특징 및-8037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110/%5BNGO%5D%20NGO%EC%9D%98%20%EA%B0%9C%EB%85%90,%20%ED%8A%B9%EC%A7%95%20%EB%B0%8F-8037_03_.gif)
![[NGO] NGO의 개념, 특징 및-8037_04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110/%5BNGO%5D%20NGO%EC%9D%98%20%EA%B0%9C%EB%85%90,%20%ED%8A%B9%EC%A7%95%20%EB%B0%8F-8037_04_.gif)
![[NGO] NGO의 개념, 특징 및-8037_05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110/%5BNGO%5D%20NGO%EC%9D%98%20%EA%B0%9C%EB%85%90,%20%ED%8A%B9%EC%A7%95%20%EB%B0%8F-8037_05_.gif)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