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취임식, 주변요건 불확실성 해소할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5 23:35
본문
Download : 20030218.jpg
새政府(정부)의 경제정책에 관련되어는 기업활동을 위축시킬 것이라는 우려도 있는 반면, 투명성을 강화하면서 중장기적으로는 중장기 호재라는 견해가 맞서고 있따 새政府(정부)에 대해 대기업들의 반발과 노사분규를 우려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그동안 장기 악재로 지속돼 온 국내 경제와 기업들의 체질을 강화할 수 있는 계기도 될 수 있다는 판단이다. 새政府(정부)가 벤처와 IT에 대한 확고한 지원의지와 신념을 여러 次例 강조했다는 점도 새政府(정부) 출범과 관련, 간과할 수 없는 요소다.
다.
강현철 LG투자증권 연구원은 “일단 새政府(정부)가 취임하고 새로운 정책이나 방향을 구체화한다면 그동안의 불확실성이 제거된다는 점에서 긍정적 시장 분위기를 기대할 수 있다”며 “무엇보다 취임이후 대미·대북 관계, 무디스의 신용등급 하향 가능성 등 이른 바 컨트리리스크에 대한 대응이 가능할 수 있다”고 말했다. 93년 김영삼 대통령의 경우 직전 6일간 상승률은 1.2%에 그친 반면 취임식 당일에는 2.6% 하락세를 보이기도 했다.
Download : 20030218.jpg( 82 )
순서
설명
지난 98년 김대중 대통령 당시는 취임 직전 6일간 14.7%라는 높은 지수 상승률을 보인 후 취임식 당일에는 4.5% 주가급락이 나타났다.대통령 취임식, 주변요건 불확실성 해소할까





일단 지난 88년과 93년, 98년 역대 대통령 취임식 전후의 단기 주가 흐름에서는 공통점이 나타나지 않았다. 표 참조
단기 관점의 시장 참가자라면 대통령 취임식 변수보다는 시장 주변 여건에 더 집중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따 김중현 굿모닝신한증권 연구원은 “대통령 취임식을 앞두고 맹목적인 단기랠리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기보다는 주변여건의 확인에 보다 힘써야 한다”며 “대통령 취임보다는 이라크·북한 핵문제와 이에 따른 외국인의 매매동향, 기관들의 매수 여력 등이 향후 시장의 흐름을 좌우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고 말했다. 그러나 중장기 관점에서는 그동안의 경기순환 사이클이 정권교체와 맞물려 ‘임기 초반 경기회복과 주가강세 그리고 임기말의 전반적인 주가 약세’라는 커다란 흐름은 반복돼 왔다는 게 증권업계의 일반적인 해석이다.
대통령 취임식, 주변요건 불확실성 해소할까
<김승규기자 seung@etnews.co.kr>
레포트 > 기타
대통령 취임식, 주변요건 불확실성 해소할까
이번 노무현 대통령의 취임은 무디스의 신용등급 경고, 북한 핵문제와 관련한 대미관계 등 세부적인 부분보다는 거시적 경제 상황에 초점이 더 맞춰지고 있따
대통령 취임식, 주변요건 불확실성 해소할까
증시 전문가들은 일단 政府(정부)의 경제정책이나 북한 핵문제와 관련한 대미관계 등 불확실성이 해소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 기대감을 가져볼 만하다는 데 意見(의견)을 같이하고 있따 하지만 노무현 당선자의 개혁 성향이 기업 지배구조와 회계 투명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고 이는 기업들의 경영을 위축시킬 수 있다는 지적도 있따 또 성장보다는 분배 위주의 정책을 지향할 경우 노사분규 확대 등 주식시장에 부정적인 effect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따
대통령 취임식이 일주일 앞(25일)으로 다가오면서 새政府(정부) 취임에 따른 증시 여건 변화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따
전문가들은 시대가 변하면서 금융환경도 개방화, 선진화됐으며 이에 따라 단순히 국가원수의 취임식이라는 이유로 증시의 강세를 기대하기는 어려워졌다고 풀이했다.